S&P 500 ETF 란? 장기 투자자가 주목하는 이유
주의에서 항상 하는 말들이 있습니다. 주식 어떤거 사야돼? 종목 좀 알려줘. 이런말들을 쉽게 내뱉더라구요. 주식은 그렇게 남이 알려주는 종목을 사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공부해서 판단하고 책임을 지는 투자임에도 찌라시를 통해서 혹은 좋아 보이거나 요즘 핫하다는 종목을 쉽게 투자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나서 수익이 잘나면 본인탓을 손실이 발생하면 남의 탓을 하겠죠.
아무리 설명을 해줘도 마치 내가 알려주기 싫은것처럼, 혼자 좋은 종목을 갖고 있는 사람처럼 보이나 봅니다.
그럴때 저는 그냥 S&P 500 ETF를 추천합니다. 저역시 일부 갖고 있는 종목이구요.
S&P 500 ETF는 단순히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을 넘어,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지수 투자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실제로 투자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S&P 500 ETF가 어떤 상품이고, 어떤 장점이 있는지,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 미국인들 조차 연금으로 가장 많이 투자하는 것이라고 하니까 해당 ETF가 망하면 나만 망하는게 아니라 미국도 같이 망하겠죠 ㅎㅎ
S&P 500이 뭔가요?
먼저 S&P 500은 미국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tandard & Poor’s)에서 선정한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대형 상장 기업 지수입니다. 흔히 말하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같은 기업들이 포함돼 있어요.
즉, 미국 경제를 대표하는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묶어 만든 지수이고, 이걸 추종하는 ETF가 바로 S&P 500 ETF입니다.
대표적인 S&P 500 ETF 종목은?
- VOO – Vanguard의 S&P 500 ETF. 대표적이고 보수적인 운용사.
- SPY – 가장 오래된 ETF로, 유동성과 거래량이 매우 풍부함.
- IVV – iShares(블랙록)의 상품. 수수료가 낮고 기관투자자들도 선호.
저는 이 중에서 VOO를 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수수료도 낮고, 거래량도 안정적이라 장기 투자에 적합하다고 느꼈기 때문이에요.
왜 이렇게 인기 있을까요?
이유는 명확합니다. 분산투자, 장기수익률, 안정성이라는 3박자를 다 갖췄기 때문이죠.
- 분산 효과: 애플 한 종목이 아니라, 미국 상위 500개 종목에 동시에 투자하는 셈.
- 장기 수익률: 과거 데이터를 보면 연평균 8~10% 수익률을 보여줌.
- 낮은 관리비: VOO의 경우 연간 보수율이 0.03% 수준. 거의 없는 수준.
무엇보다 따로 공부하거나 트레이딩을 하지 않아도, 그냥 들고만 있어도 장기 우상향이 기대되는 자산이라는 점에서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선호하는 ETF입니다.
S&P 500 ETF,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 개별 종목 투자보다 장기 안정 수익을 원하는 분
- 미국 경제 전체에 투자하고 싶은 분
- 퇴직연금, 연금저축계좌 등 장기 계좌 활용 중인 분
- 꾸준히 적립식 투자하려는 직장인
실제로 제 친구는 연금저축계좌에 매달 30만 원씩 VOO를 자동매수하고 있는데, 몇 년 지나니까 꽤 큰 자산이 되어가더라고요.
주의할 점도 있어요
좋은 상품이라고 해도 리스크는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는 환율 변동입니다. S&P 500 ETF는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에 따라 손익이 달라질 수 있어요.
또한 미국 주식 배당소득세 15%가 자동 원천징수되므로, 세금 측면도 고려해야 합니다. 단, 연금계좌에서 운용할 경우 이 부분은 조금 유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어요.
국내 상장 ETF도 있어요
해외 ETF가 어렵게 느껴진다면, 국내에 상장된 TIGER미국S&P500, KODEX미국S&P500TR 등의 ETF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환헤지 유무, 과세 방식 등의 차이는 있지만, 접근성이 높다는 점에서 입문자들에게도 괜찮은 선택지예요.
글을 마치며
S&P 500 ETF는 단순히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게 아니라, 미국 경제 자체에 투자하는 장기 전략입니다. 저처럼 개별 종목 분석이 어렵거나 바쁜 직장인이라면, S&P500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괜찮은 포트폴리오가 됩니다.
매달 조금씩 모으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자산을 만들어줍니다. 지금 당장은 큰 금액이 아니어도, 5년, 10년 뒤를 보면 스스로 놀라게 될 거예요. 장기 투자, 그 시작을 S&P 500 ETF로 해보는 건 어떨까요?
저는 워렌버핏 할아버지를 믿습니다. 솔직히 지금은 미국주식을 대체할만한 투자처를 못찾겠거든요.